가구의 소득 후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펴가하는 지표이다.
가계의 채무 상황 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(DSR) 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/ 자산비율 (DTA)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이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%, 100%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,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'위험가구;로 분류한다.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'고위험가구'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'고 DTA 가구'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'고 DSR가구'로 구분할 수 있다.
다만 위험 및 고 위험 가구는 가구의 재무상환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가구가 당장 채무상환 불이행, 즉 임계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.
DSR : Debt Service Ratio
DTA : Debt To Asset Ratio
'돈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자의 믿음과 가난한 사람의 믿음 차이 [부의 속성] (0) | 2024.02.18 |
---|---|
마케팅 공부법, 딱 5가지만 따라하면 된다! (0) | 2024.02.17 |
돈이 굴러가는 방식, 이걸 알아야 돈버는 법을 알 수 있다. (4) | 2024.02.15 |
내가 돈 공부를 시작하게 된 이유 (2) | 2024.02.14 |